인장 강도란?
인장 강도 Rm(인열 강도라고도 함)은 강도 거동의 평가를 위한 재료 물성값입니다.인장 강도는 시편에 가할 수 있는 최대 기계적 인장 응력입니다.이 인장 강도를 초과하면 재료가 손상됩니다. 즉, 재료 시편이 최종적으로 파손될 때까지 힘의 흡수력이 감소됩니다.그러나 재료는 실제 인장 강도값에 도달하기 전에 플라스틱 변형(잔류)을 겪습니다.
인장 강도 Rm은 인장 시험(예: ISO 6892 표준[금속 재료] 또는 ISO 527 표준[플라스틱 및 복합재] 준수)을 통해 결정됩니다.
최대 달성 인장 하중 Fm과 시험 시작 시의 시편 단면 표면을 가지고 계산합니다.
인장 강도 Rm = 최대 인장 하중 Fm / 시편 단면 표면 S0
인장 강도는 MPa(메가파스칼) 또는 N/mm²로 표시합니다.
응력-변형 다이어그램(응력-변형 곡선이라고도 함)에서 시편의 인장 강도는 인장 시험의 상대적 길이 변화에 따라 표시합니다.
이 곡선을 통해 시험 재료의 여러 가지 물성값(예: 탄성 거동이나 인장 강도)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응력-변형 다이어그램에서 인장 강도는 인장 시험에서 인장 응력을 새로 높인 후에 도달한 최대 응력값입니다.
강도 성질의 평가를 위한 기타 물성값
강도 성질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인장 강도 외에도 상부 및 하부 항복점과 파괴 강도 또는 인열 강도를 측정해야 합니다.
항복점은 탄성 변형에서 소성 변형으로 전환될 때의 응력을 설명하는 데 사용합니다.이것은 탄성 한도, 상부 및 하부 항복 강도(인장 시험), 압축 항복 강도(압축 시험), 굴곡 항복 강도(굴곡 시험), 비틀림 항복 강도(비틀림 시험)를 총칭하는 말입니다.
오프셋 항복점은 특정 잔류 연신 또는 전연신이 이미 포함되어 있는 응력입니다.이것은 금속 재료의 탄성 범위에서 소성 범위로의 지속적인 전환을 표시하는 데 사용합니다.
항복점이라는 용어는 보통 유동학에서 사용되며, 재료(특히 플라스틱)가 유동하기 시작하는 응력값을 말합니다.이 유동의 특징은 항복점을 초과했을 때 재료의 소성(불가역적) 변형이 일어난다는 것입니다.
많은 재료에서 최대 하중 Fm에 도달한 후 시편이 파손되거나 찢어질 때까지 연신이 늘어나면서 하중과 이에 따른 공칭 인장 응력이 감소합니다.최초 단면적과 관련한 절단 하중을 파괴 강도 또는 인열 강도라고 부르기도 합니다.이것은 특히 플라스틱에서 중요한 파라미터입니다.항복점이 없는 취성 금속 재료, 고무류, 강한 플라스틱은 일반적으로 인열 강도가 인장 강도와 일치합니다.
금속 재료의 인장 강도값 예시
재료명 | 재료 번호 | 기존 명칭 | Rm | Rp0.2 |
S235JR | 1.0037 | St37-2 | 360 | 235 |
S275JR | 1.0044 | St44-2 | 430 | 275 |
S355J2G3 | 1.0570 | St52 -3N | 510 | 355 |
C22E | 1.1151 | Ck22 | 500 | 340 |
28Mn6 | 1.1170 | 28Mn6 | 800 | 590 |
C60E | 1.1221 | 850 | 580 | |
X20Cr13 | 1.4021 | 750 | 550 | |
X17CrNi16-2 | 1.4057 | 750 | 550 | |
X5CrNi18-10 | 1.4301 | V2A | 520 | 210 |
X2CrNiMo17-12-2 | 1.4404 | V4A | 520 | 220 |
X2CrNiMoN17-13-3 | 1.4429 | 580 | 295 | |
30CrNiMo8 | 1.6580 | 1250 | 1050 | |
34CrMo4 | 1.7220 | 34CrMo4 | 1,000 | 800 |
42CrMo4 | 1.7225 | 1100 | 900 | |
S420N | 1.8902 | StE420 | 520 | 420 |